라우터, 대역폭, 허브
인터넷 규정
-RFC (Request for comments) : 인터넷 기술과 관련된 공문서
-IETF (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) : 원활한 인터넷 사용을 위한, 미국의 조사위원회.
인터넷 통신규약
- 프로토콜 (protocol) : 컴퓨터간 정보 주고받는 통신방법 규칙
Access net (네트워크 접속 방법의 종류)
- DSL ( Digital Subscriber Line ) : 일반전화선을 사용하면서도, 광케이블 사용하지 않고도 네트워크 구축
LAN, ADSL, SDSL, HDSL, VDSL(Very high - speed)...으로 분류.
- calbe network
- home network
Enterprise access networks
- Ethernet : 가장 대표적인 버스 구조 방식의 근거리통신망 (LAN)
Physical media
- 광섬유
Packet-switching (패킷 교환)
- store-and-forward (축적 전송) : 패킷을 중계 노드 등에 저장했다가 최종 행선지로 전달하는 방법
- queueing delay, loss ( 큐 지연)
Two key network-core-function (두 개의 네트워크 주요 기능)
- routing(빠른길 찾기), forwarding(보내기) : IP 계층에서 처리해주는 작업, 패킷 송수신되는 과정 쉽게 말하는 용어
Alternative core
- circuit switching : 회선 교환망 : 장비간 통신, 서킷 맺어지면, 별도 경로 생성, 두 장비간 모든 통신은 서킷을 통해 이루어진다.
- FDM (주파수 분할 다중화) : 겹치지 안는 주파수 대역
- TDM (시분할 다중화) : 고속의 버스트로 신호를 압축, 시간 겹침 없이 합성
How do loss and delay occur? (패킷의 잃음은 어떻게 해결할까..)
Four sources of packet delay
- d (nodal) = d (processing) + d (queueing) + d(transmission) + d (propagation)
- 주황색을 줄여야, 딜레이 감소. 뒷부분은 물리적인 부분.
d (processing) : 인풋 큐에서 아웃 큐까지 걸리는 딜레이를 말한다. 딜레이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.
=> 트래픽을 줄일려면
- 패킷 길이는 고정, band width를 바꾸면 망을 다 갈아엎어야 해서 불가능.
- 평균 패킷 도착 시간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줄일 수밖에 없다.
Queueing delay (revisited)
- 트래픽이 큐에 도착하는 비율, 링크의 전송률, 도착하는 트래픽의 특성, 즉 트래픽이 주기에 맞춰서 또는 버스트하게 도착하느냐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.
a는 패킷이 큐에 도착하는 평균율. R은 전송률, 즉 비트가 큐에서 밀려나는 비율.
큐가 매우 커서 무한대 비트를 저장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. 트래픽 강도, 즉 La/R은 큐잉 지연의 정도를 측정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. La/R > 1 이면, 비트가 큐에 도착하는 평균율이 비트가 큐에서 전송되는 비율을 초과한다. 이 경우에 큐는 끝없이 증가하고 큐잉 지연은 무한대에 도달한다.
따라서 트래픽 공학의 주요 규칙 중 하나는 "트래픽 강도가 1보다 크지 않게 시스템을 설계하라" 는 것이다.
일반적으로 큐에 도착하는 프로세스는 랜덤하다.
즉, 패킷의 도착에 전혀 고정된 패턴이 없다. 패킷은 임의의 시간만큼 떨어져서 도착하게 된다.
트래픽 강도가 0에 가까울 때 : 패킷도착이 드물고 간격이 멀어서 다음에 도착하는 패킷이 큐에서 다른 패킷을 발견하는 경우가 없을 것이다. 그래서 평균 큐잉 지연은 0에 가까워진다.
트래픽 강도가 1에 가까울 때 : 패킷도착이 전송용량을 초과하여 큐가 생성될 것이다. 트래픽 강도가 1에 접근할수록 평균 큐 길이는 점점 증가한다.
트래픽 강도가 1에 접근할수록 평균 큐잉 지연이 급속히 증가한다.
어떤 사건때문에 아주 적은 트래픽만 발생하여도 지연은 아주 클 수 있다.
트래픽 강도가 1이 넘도록 패킷 도착률을 높게 설정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큐가 천천히 쌓인다.
"Real" Internet delays and routes
- traceroute(경로추적) : 패킷이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동안 거치는 라우터의 IP를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
Internet protocol stack
- application (상대방과 내가 사용하는 프로토콜)
- transport (다시 요청하는 곳)
- network (누구한테 보낼 지 결정한다.)
- link (데이터약속!, 보내는 것, 받는 것 똑같이 만들어주겠다느걸 결정)
- physical
'Computer Network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CP (0) | 2014.06.12 |
---|---|
중간고사 기출. (0) | 2014.06.11 |
네트워크 함수관련 찾기 좋은 사이트 (0) | 2014.06.07 |
[열혈TCP/IP] 함수 정리 (0) | 2014.06.03 |
computer networking - 내용정리 (0) | 2014.06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