종합건강진단에서 해야 할 검사는 뭐가 있을까?
22년 올해 종합검진은 경동맥초음파와 갑상선초음파를 진행하하겠닷.
갑상선 초음파는 1년반전에 받았으니, 다시 심장초음파 홍홍 ^^
1. 뇌정밀
(1) 뇌 CT (간호사 추천이였는데,, 딴거해야지) | 방사선 피폭 때문에 비추천, 얻을 수 있는 정보도 많지 않다.
- 뇌졸중 (뇌출혈 및 뇌경색), 뇌종양 등 뇌의 기질적 질환 진단
- 뇌종양, 뇌출혈, 두부외상, 수두증 같은 구조 이상 등 뇌와 두개골 관련 질환 진단
- 뇌의 단면 영상을 전문가의 판독
(2) 뇌혈류검사 (TCD) | 검진에는 부적절
- 뇌허혈(뇌경색, 일과성 허혈 발작), 뇌혈관 기형 등 진단
- 초음파 이용, 뇌혈관속 피가 흐르는 속도, 혈류량, 혈류방향 측정하여 뇌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있는지 평가
(3) 경동맥초음파 | 고혈압, 당뇨, 고지혈증 병력이 있는 환자에서 50세 이후에 고려해 볼만한 검사
- 경동맥협착, 폐색, 혈전 등 목 동맥경화증 상태 파악
- 뇌졸중, 심근경색 등 샘혈ㅈ관질환 위험도 평가하는데 활용되는 검사(혈관 건강 관련 검사)
- 초음파 이용하여 경동맥 두께, 경동맥 내경, 경동맥내 혈류 속도, 혈류의 방향, 시간당 혈류량 등 측정
- 경동맥은 심장에서 뇌로 올라가는 혈관으로 목 부위에 있음
- 고혈압, 당뇨병, 이상지질혈증(고지혈증), 흡연, 가족력 등 위험인자가 있을 때
동맥경화가 진행되고 혈관벽이 두꺼워지는데, 이러한 동맥경화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경동맥초음파가 유용
2. 심장정밀
(4) 관상동맥석회화 MDCT | 해볼만하지만, 50세 이후에 한번쯤 해 볼만한 검사
- 심장혈관 질환(심근경색증, 협심증, 대동맥박리) 조기 진단
- 심장혈관(관상동맥) 사진을 전문의가 판독하여 심장혈관의 구조와 심장벽의 두께, 심장혈관의 석회화등을 평가
(5) 심장초음파 (간호사 추천이였는데,, 딴거해야지) | 판막 질환, 심장 기형이 있는 분들만
- 심장의 구조와 심장 기능을 실시간으로 관찰하여 심장질환을 진단
- 초음파를 이용하여 심장 크기, 구조, 움직임, 기능을 검사하여 선척적 이상, 판막질환, 심근중 진단
- 심장질환 가족력, 고혈압, 당뇨, 이상지질혈증(고지혈증), 비만, 음주, 흡연, 평소 가슴 답답한 증상있는 분에게 권장
(6) 패치형 심전도 모니터링검사
- 초경량 웨어러블 심전도 기기로 일상생활에서의 부정맥 진단
- 48시간 동안 심전도를 기록, 분석하여 부정맥 진단, 돌연사 예방
(심혈관 질환 가족력, 평소 어지럼증 및 두근거림 증상이 있는 경우, 심장이 쿵 내려앉는 느낌이 있는 경우)
3. 폐정밀
(7) 저선량 폐 MDCT | 담배 많이 피는, 나이가 40대 이상 한번쯤 해 볼만 함
- 폐암, 폐 결절, 폐기종 등의 조기 진단
- 폐암의 가족력, 흡연자, 간접흡연자에게 권장
4. 소화기정밀
(8) 대장내시경 | 50세부터 5년에 한 번씩 꼭!
- 대장용종, 대장암, 대장의 염증성 질환을 진단
(9) 대장암DNA 분변검사
- 장 세척 없이 대변에서 DNA를 추출하여 대장암을 보조적으로 진단
5. 내분비계 정밀
(10) 갑상선초음파 | 가족력 + 30세 이후
- 갑상선 암, 갑상선 결절, 갑상성 비대, 갑상성 낭종 조기 진단
- 목을 뒤로 젖힌 상태에서 시행하며, 갑상선의 모양과 크기, 구조 평가
(11) CGM 연속혈당 모니터링검사
- 일주일 이상의 연속 혈당 모니터링을 통한 당뇨병 위험 상세 평가 및 관련 생활습관 진단
- 같은 음식이여도 혈당 변화는 다를 수 있으므로, 연속혈당측정을 통해서 혈당변동성과 식후혈당 변화 관찰
- 혈당변화 궁금, 전당뇨 진단을 받은 분, 당뇨가족력 있는 분, 평소 단음식, 간식을 즐기는 분, 저혈당이 의심되는 분
(12) 류마티스 질환 검사
- 전신홍반루푸스, 쇼그렌증후군 등 류마티스질환 (자가면역 질환) 평가
6. 남성정밀
(13) 전립선초음파 : 남 | 젊은 사람은 굳이 필요없고, 60대 이상 전립선 비대증, 전립선암 검사 목적으로 고려
- 전립선비대, 결절 등 전립선 질환 진단
(14) 남성 호르몬검사&골밀도검사
> 혈액 3종(SHBG, Total testosterone, Free Testosterone)
> 골밀도검사 요추 + 대퇴 | 50세 이상 여성분들 필요
- 남성호르몬 이상 및 골밀도 검사, 갱년기 검사
그외. 추천 하지 않는 검진들 (검진에서는 굳이 필요하지 않음)
PET-CT란?
PET는 양전자 단층촬영이라는 핵의학 검사
컴퓨터 단층촬영(CT)가 추가로 장착
PET-CT라는 검사는 진단 목적으로 사용 (검진 X), 암이 진단되었을 경우 전이 여부 평가나, 암의 완치 후 재발 여부 확인용으로 쓴다. 그래서 검진에선 하지말자.
심장 초음파 검사 해야하나?
결론적으로 검진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건 별로 없음
고협압이나 당뇨, 이상 지질혈증이 있다면, 관상동맥 CT를 50대 이후에 해보기
뇌 MRI
혈관 보기 어렵다. 효용성이 떠러진다. 뇌 MRA 하는게 낫다.
뇌 관련 검진 옵션 세트 뇌혈류초음파 측정하는 것도 있는데 이게 상당히 부정확하다. (부적절), 뇌 MRA가 훨씬 정확
복부 CT
대장내시경등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, 굳이 복부 CT를 방사선 피폭(약 10mSv)이 되면서 할 필요가 없다.
위-대장내시경하고 상복부초음파로 대체
허리 CT와 MRI
정형외과나 신경외과에 내원, 진단 목적으로 찍는게 낫다.
'나를 관리한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에스트라 아토베리어365 같은 크림을 찾아보자 (세라마이드 제품) (1) | 2023.10.22 |
---|---|
셀프 제모 쉽게 하기, 폴메디슨 판텔라 제모왁싱크림 (0) | 2022.06.14 |
센텔리안24 마데카 크림 파워 부스팅 포뮬러 15ml (3) | 2022.04.26 |
여름 출근복 스타일링하기 (0) | 2022.04.24 |
발바닥에 문제가 있음, 피부 가려움증이 발생함 (2) | 2022.02.05 |